- 기술정보
-
현장조색시스템 ▼
조색시스템의출현배경
현재 매직터치에서 개발한 매직필러제 품은 장비특허로 등록된 제품으로 본 제 품을 모방하여 제조, 판매시에는 특허침 해죄로 고발이러한 색상을 칼러별로 만 들어서 판매를 하게 되면 진열문제, 재고문제, 관리문제, 제조문제, 유통문제 등 많은 예기치 않는 곳에서 애로사항이 반드시 발생할 것이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약 70~100여종 의 원색 페인트를 갖추고 자동차 색상별 로 조제할 수 있는 배합표를 시공자에게 제공하여 시공자가 현장에서 필요한 양 만큼 직접 제조해서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여러 어려움이 한꺼번에 해소될 수 있 는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조색 시스템은 개발 되었으며, 오늘날 전 세계적 으로 조색시스템을 대부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될 수 있습니다. [페인트 주입 장치 ; 특허등록 제 10-1313060호]
조색시스템이란?
자동차외형복원 전문점 매직터치에서 사용하는 독일 스피스헥커 조색시스 템의 구성요소는..
원색페인트 73종
시편(자동차색상별 칼라카드)
배합표(색상별 조색데이타)
전자저울
조색개량컵
독일 스피스헥커 조색시스템의 작업 순서는..
- 자동차의 차량의 출고년도, 제조회사 모델명을 확인한다. - 자동차의 색상코드를 확인한다. 차량의 시편(색상표)을 찾고 시편이 없을 경우 가장 유사한 색상의시편을 선정 한다. - 배합표에 따라 조색한다. 이색발생시 첨가도료를 사용하여 색 상을 100% 맞춘다
조색시스템의 필요성
자동차외형복원전문점 또는 흠집제거 전문점에서 차량의 수리를 위하여 도색을 할 경우가 있는데 조색된 페인트 (국산페인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조색시스템(수입페인트)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두가지 중 어느 것이 효율성을 갖추고 있느냐고 묻는 다면 당연히 조색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맞다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자동차 외형복원 흠집제 거 프랜차이즈를 운영하고 있는 매직터 치에서는 회사설립부터 독일의 스피스 헥커 현장조색시스템을 현재까지 운용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조색시스템이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시대를 앞서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조색시스템이 왜 필요로 한 것 인가를 살펴보면
자동차 색상의 다양화, 고급화에 따라 똑같은 색상코드를 가진 색상이라도 출고 되는 공정별, 시간별, 계절별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국내에서 공급하고 있는 도료(사전 조색된 도료)로는 미조색이 불가 하여 이러한 변화의 차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정확한 색상의 표현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외국 선진국에서는 이미 30년전부터 조색시스템을 운영하여 이를 해 결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외형복원전문점에도 조색의 필요성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조색시스템을 이용했을때의 장점은?
경제적인 측면
필요한 양 만큼 조색을 하기 때문에 재료 의 낭비가 전혀 없다.
관리적인 측면
재고가 늘어나지 않는다(70여종으로 전 세계 30,000여종 시공)
시간적인 측면
현장에서 5분안에 조색해서 가능(시간 절약)
다양성의 측면
국산차량뿐 아니라 전 세계 수입차량 전 부 시공가능
품질적인 측면
차량의 색상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으 며 국산제품 보다 품질이 우수하다.
특히 자동차외형복원점에서는 전체도장 이나 사고난 차량의 수리를 위주로 하고 있지 않고 스크레치 간단한 흠집위주의 도색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조색시스템의 도입은 아주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스피스헥커의 우수성에 대하여
페인트의 기본이론에 보면 도료란 무엇 인가를 살펴보면 물체의 보호, 미관, 표시 등을 위하여 물체의 표면을 피복할 목적으로 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 등으로 만들어진 액체 또는 고체물질을 "도료" 라고 하고 도료를 이용해서 도막을 만들기 위한 작업을 총칭하여 "도장"이라 한다. 도장의 목적에는 물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장작업을 행하는 것인데 색감을 부여하여 미관을 향상시키고 상품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페인트의 구성성분은...
1) 바인더/수지 : 광택, 경도, 내후성, 부 착성, 내구성 등을 제공
2) 안료 : 도막에 색감을 부여
3) 용제 : 바인더를 용해시켜 안료와 수지를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작업이 용이하게함.
4) 첨가제 : 도막 성능향상을 위하여 도료에 첨가하는 물질.
*별첨 : 경화제 : 바인더 / 수지와 화학적 으로 반응하여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 로 만들어줌.
첫 번째 바인더 및 수지에 대해서 살 펴보면
일반적으로 페인트의 품질은 바인더/수 지가 좌우한다고 한다. 앞에 소개한 페인트의 주요 구성성분은 바인더/수지, 안료, 용제, 첨가제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제일 핵심이 되는 것이 수지이다. 이 수지가 광택, 경도, 내후성, 부착성, 내구성 등을 제공한다고 되어 있는데 좀더 쉽게 설명을 하자면
- 광택 : 시공후에 광택도가 뛰어나야 하 며
- 경도 : 페인트의 강도가 뛰어나 오랫동안 지속되며
- 부착성 : 부착성이 뛰어나 벗겨지지 않으며
- 내후성 : 황변현상이나 썩지 않으며
- 내구성 : 변형이 변질이 되지 않고 영구적인 페인트가 품질이 뛰어난 페인트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바인더/수지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제품이 아니라 각 페인트회사에서 자체적인 기술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다국적기업인 독일의 스피스헥커에 비하며 국내 도료회사들의 기술수준은 떨어져 품질력 차이가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두 번째 안료에 대해서 살펴보면
페인트는 색상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것 이안료이다. 이안료가 색상을 연출하는 것이다. 품질이 좋은 안료는 은폐력이 뛰어나며, 접착력이 우수하고 변색진행도가 낮으며 특히 울화현상 (얼룩덜룩해지는 경향)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세 번째로 용제부분에 대해서 살펴보면
용제란 일반적으로 우리들이 사용하는 신나이다. 그러나 신나도 락카신나, 표 준신나, 탈지신나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비용도 각기다르다. 도장작업시 반드시 표준 신나를 희색해야 하는 이유가 있는가? 그냥 일반 신나를 쓰면 안되는가? 신나 역할은 안료와 수지를 균일한 상태로 만들어 점도를 떨어뜨려 도료적용시 작업을 용이하게 도와주는데 일반 신나는 이러한 점도를 균일하게 해주지 못하여 도장 직후 보다는 나중에 품질저하를 초래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다.
네 번째 안료에 대해서 살펴보면
독일 스피스헥커 페인트에는 품질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기본적인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첨가제는 품질향상 및 하자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좋게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식물을 키울 때 단순하게 거름만 주는 것보다는 영양제를 공급하게 함으로서 보다 우수한 품질을 생산해 내는 결과와 같다고 할 수 있다.
품질력에 대한 평가
예를들어 그랜져 차량을 3대를 준비하여 한 대의 차량의 범퍼에는 스피스헥커 페인트로 도장을 하고, 두번째 차량에는 국산 페인트로 도장을하고, 세번째 차량에는 사제페인트로 도장하여 48시간이 경과된 후에 서울에서 부산까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속도로 주행을 하고 나서 주행시 발생한 스톤칲이 앞범퍼에 얼마만큼 상처를 주었는가를 확인을 하면 스피스헥커 페인트를 사용한 첫 번째 차 량은 상처가 전혀 없으며 국산 페인트로 도장한 두 번째 차량은 스톤칲이 발생한 자리에 금이 생기며 세번째로 사제페인트를 칠한 차량의 범퍼는 페인트의 일부가 떨어져 나간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갖고 육안으로 보고 확인하기 어려운 페인트의 품질의 차이를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는 앞에서 열거한 3대의 차량 에 각기 다른 3개의 페인트로 전체도장을 하여 동일한 자연조건에서 동일한 운행을 한 후 만1년후에 차량표면의 광택도나 경도 측정을 해보자 그러면 스피스 헥커 페인트를 사용한 차량은 약 10%~20%정도 광택도가 줄어든 반면 국산페인트를 사용한 차량에서는 약 30%~40% 정도 광택도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사제페인트를 사용한 차량은 약 50%~70%가 광택도가 줄어들어 차량의 외관상태가 엉망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가 알 수 있는 현상은 스피스헥커페인트를 사용한 차량은 약 2년에 한번정도의 광택으로 차량을 새차 처럼 유지할 수가 있으며 국산페인트를 사용한 차량은 약 1년에 1회정도 광택을 해야 새차처럼 유지가 가능하며 사제페인트를 사용한 차량의 경우는 광택으로 새차처럼 살려내지를 못한다는 사실이다.
결론
자동차외형복원 대표브랜드 매직터치에서는 사업초기부터 독일 스피스헥커 현장조색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이는 시공자에게는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우수한 품질을 보장하여 향후 매직터치와 고객과의 돈독한 유대관계를 형성하여 자동차외형복원의 미래를 창조해 나가고자 합니다.
경미한 부분도장▼
부분보수흠집제거방법
매직터치 칼라매치는 아주 간단한 연습 및 훈련으로 완벽한 흠집제거를 할 수 있으며, 만일 조색된 색상이 기존 색상과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가능합니 다.
1) 먼저 도장면의 이물질을 탈지제로 제거 후 색상을 확인한다. 2) 손상된 부분을 연마제로 연마한다. 이때 연마된 부위를 되도록 적게 하고 특 히 연마된 부위의 끝부분을 주의해서 처리한다. 3) 연마된 부위를 탈지제로 닦아낸다. 4) 프라이마로 손상면을 도장한다. 5) 차량의 시편을 보고 배합비율표에 따라 조색한다. 6) 도료를 가볍게 도장을 한다. 이때 도장중간중간에 에어바람을 이용해서 말 리면서 한다. 7) 규정된 혼합비에 따라 투명도장한다. 8) 이음새 약픔(JOINT)으로 신도막과 구도막사이를 도장하여 이음새를 처리한다.(10분간 건조) 9) 건조후 매직터치 광택약품으로 보수도장부분과 도장이 날린부분을 콤파운드 하고 광내기를 한다.
매직원광택/코팅▼
자동차광택 전문상식
우리가 광택에 대해서 대단히 잘못 알고 있는 상식이 하나있다. 이것만은 꼭 고쳐야한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은 (심지어 카센타 20년 경력자들도) 광택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자동차 표면의 기스를 없애는 작업이다” 라고 대답하는 사람이 아주 많다. 이것은 광택을 너무나 모르는 대답임에 틀림없다. 광택이란 자 동차 도편의 찌든때 (세차해서는 잘 지워지지 않는 때, 즉 콜타르, 수액, 날린 페인트 등)를 약품을 사용하여 깨끗이 제거하는 작업이며, 아울러 난반사가 일어나는 오렌지 필을 잘 잡아서 매끄럽게 만듦으로서 정반사가 일어나게 하는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 출고후 약1년이 지나면 광택도가 60정도로 떨어지게 되고, 3년 정도 되었을 경우에는 평균 40-50 정도의 광택도를 나타냄으로서 광택이 거의 사라졌다고 할 수가 있다.
자동차가 제모습을 내기 위해서는 평균 70이상의 광택도를 유지해야 외관상 보기도 좋고 또한 페인트의 산화현상도 일어나지 않게된다. 그러기 때문에 자동차를 오랫동안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1년에 1번 정도는 꼭 광택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하겠으며, 조금 신경을 쓴다면 6개월에 1번정도 광택을 하는 것이 차량표면 보호에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 도장에 있어서 광택은 사람피부에 영양크림을 발라주는 것과 같다고 하겠다. 예를 들어 예쁜 피부를 가진 여자가 1년동안 한번도 영양크림이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상상해보아라. 과연 그 여자의 피부가 어찌 됐겠는가. 아마 가죽처럼 뻣뻣하게 되어 있지 않을까.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1년동안 광택을 하지 않고 물세차만 했을 경우 그 포면은 엉망이 되어버린다는 것은 상식 아닌가. 그러기 때문에 표면보호를 위해서 광택을 하는 것이다.
광택기본작업공
공법 중고차용 공법횟수 제품명 입자 특수광택 1차 magic sendar #2000 2차 magic poish #1500 3차 lacquer polish (wurth) #중고차용 특수코팅 1차 speed magic 기계 2차 glanz (wurth) 손
공법 신차용 공법횟수 제품명 입자 특수광택 1차 magic sendar #2000 2차 magic poish #1500 3차 lacquer polish (wurth) #신차용 특수코팅 1차 speed magic 기계 2차 glanz (wurth) 손
01 매직원광택
매직터치에서는 다년간(15년) 연구개발 결과로 얻어진 특수광택의 약품 및 신공법을 개발하여 전국 체인점에 보급하고 있습니다.
02 매직원광택의 필수요건
광택작업에 요구되는 요건은 공법(공정)
+ 약품(신개발) + 기술(테크닉)의 조화 이므로 2차례공정으로 난반사를 정반사로 처리하는 특수광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03 약품의 특성
매직터치의 신개발 약품은 도막표면을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오랜시간을 보호 해주며 어떠한 환경(자외선, 산성비)에서도 차단효과가 뛰어납니다.
04 매직터치 공법
매직터치 신공법은 오렌지필과 잔기스를 완전 제거하여 난반사를 정반사로 만들어주며 약품을 열처리공법으로 녹여 차체를 도포함으로써 크리어층의 손상을 막아주면서 선명한 광택도와 오랜시간 보호막을 형성해주는 최첨단 공법입니다.
05 매직터치 신기술
광택 작업시 약품, 패드, 폴리셔의 속도와 힘의 조화를 잘 매치시킴으로써 더욱 뛰어난 광택도를 유지시키고 오랜시간 지속될 수 있다.
매직덴트▼
매직덴트란 어떤것인가?
현재 덴트 복원사업은 시작단계를 넘어 발전단계에 접어들어 그 수요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덴트 복원은 막연하게 그저 찌그러진 곳을 복원한다는 것이 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셨을 줄 믿습니다. 그러나 자세한 실체는 접하여 보기가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 것은 덴트 복원이 장비자체보다는 그 장비를 활용하는 기술에 비중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덴트 기술은 소수가 독점하여 공개를 꺼리는 것에고 그 이유가 있습니다.
덴트 복원 기술은 누구나 배워서 할 수 있는 단순한 기술입니다.
즉, 자동차 외부 도장면이 충격을 받아 페인트 손상 없이 찌그러졌을 경우 패널 내부에서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외부로 밀어내는 일련의 작업방법입니다. 그러나 찌그러진 부위만을 도막 손상 없이 정확하게 밀어내기 위해서는 덴트 복원 용 전용 공구와 이것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더욱 중요한 사항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하여 감각을 익히는 것입니다.
매직덴트 공법시 요구되는 사항
01 집중력
덴트 복원작업은 매우 큰 집중력을 필요로 합니다. 연습을 할 때나 실제 작업을 할 때에도 덴트 부위에 시선을 집중시켜야 하며 장비를 잡은 손에 모든 감각이 집중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02 손과 눈의 조화
작업부위에 시선을 집중하고 시선부위에 장비 끝이 위치하여야 하므로 손과 눈이 조화를 이룰 때 최상의 작업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03 반복 연습
덴트 복원 기술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연습을 하고 빨리 하기보다는 완벽하게 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매직덴트 시공방법
일반적인 덴트
일반적인 덴트의 공법은 크기가 작은 것은 가운데부터 펴주고 큰 것은 가장자리부터 순차적으로 합니다.
A. 덴트 부위를 컴파운드 사용 깨끗이 닦아낸다. B. 덴트 공구를 선택하여 접근시킨다. C. 리플렉터 보드를 덴트 부위와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다. D. 공구를 잡을 때는 한 손은 덴트 부위 쪽으로 하고 한 손은 손잡이를 잡는다. E. 작업 중엔 긴장하지 말고 항상 어깨와 팔에 힘을 빼고 작업한다. F. 공구 끝 부위가 덴트의 가장 낮은 곳 을 찾아 위치시킨다. G. 로우 포인트를 찾아 밀어 올린다 이 때 서서히 밀어 올리며 한번에 무리한 힘 을 가하지 않고 몇 번에 나누어 가며 펴 준다. H. 밀려 올라오지 않는 경우는 주변을 살펴 힘이 모인 곳을 두드려 풀어준다.
주름형 덴트
길게 옆으로 생긴 덴트 복원은 리플렉터 보드의 위치를 바꾸어가며 (리플렉터 보드를 덴트와 수직방향이 아닌 45도 각도 로 비추어준다) 재봉질 하듯이 한쪽면부터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펴준다.
더블 덴트
하나의 덴트에 또 다른 덴트가 겹친 경우 이며 작은 부위 덴트 먼저 90%를 복원하고 큰 부위 100% 복원하고 큰 부위 100% 복원 후 나머지 작은 부위 10% 를 복원하여 마무리한다.
원뿔형 덴트
한쪽부위는 좁고 다른 부위는 넓은 경우의 덴트 입니다. 표준형의 일반덴트에 준하며 마지막에 뾰족한 부위는 주름형 덴트에 준하여 덴트가 시작된 부위에서 펴줍니다.
위에서 언급한 형태 이외도 다양한 형태의 덴트가 발생됩니다. 따라서 위의 방법을 응용하여 하면 됩니다.
이음새정보 ▼
이음새란?
경미한 부분도장(한판중에서 일부분을 도색하는 작업)에서 최고의 어려운 기술은 이음새를 완벽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현재 정비업체에서는 스크레치, 작은 흠 집 등을 시공하는데 한판도장을 한다. 이러한 공법은 오늘날 출고되는 진주색 펄(3코드트), 은색(실버) 등의 색상은 이색을 발생시켜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품질상의 마찰을 야기한다. 이에 매직터치에서는 이음새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는 MAGIC JOINT 약품을 개발하여 시공함으로써 경미한 부분도장의 가장 핵심 POINT인 검정색차량의 투명이음새 부분과 3코트 및 실버차량의 이음새를 완벽하게 처리하고 있다.
경미한 부분도장법
색상차이가 예상되는 부분과의 경계면 또는 구도막 제거에 의한 도장범위를 구분하기 어려울 경우 적용하는 방법으로 부분보수 도장시 새로 도장할 부분의 색과 구도막 색과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는 도장기술이다.
S-L 덴트▼
S-L 덴트는
기존의 덴트는 원시적인 장비로 고도의 기술력을 필요로 하나 본사에서 개발한 S-L덴트는 누구나 쉽게 배우고 적용하기에 최적의 장비입니다.
사용법
1. 본드약품을 녹여 놓는다. 범량 온도는2단에 맞춘다. 2. 덴트 부위 탈지제로 깨끗이 이물질 제 거 3. 펜으로 중앙 포인트 표시 후 십자선을 긋는다. 4. 덴트 모양에 따른 아답타를 선택한다. 선택후 아답타 표면을 사포나 수세미로 문지른다. 5. 본드 약품을 두툼하게 기포없이 묻힌 후 십자선과 직각(수직)으로 일치 시키 면서 약간 누른다. 2~3분후 에어로 불 어 굳게 만든다. 6. 미니 공구로 아주 조금씩 돌려 가면서 올려준다. 7. 원 표면보다 약간 더 높게 올린다. 측 면에서 확인하면서 올려준다. 8. 올릴때 얼마만큼 올려야 약간 더 올라 왔는지 잘 모른다. 그래서 측면이나 보 드판을 보면서 확인하면서 대략 몇mm 정도가 들어갔는지 눈으로 확인 후 미니 장비 옆면에 표시된 mm 눈금만큼 올려 주면된다. 한번 올렸을때 (0)포인트가 남으면 포인트 주변을 펀칭해준후 다시 중앙 포인트를 십자 표시후 맞는 아답타를 선택하여 붙힌 후 뽑아낸댜. 9. 올린후 재차 펀칭하여 표면 고르기를 해준다. 완료후 상태에 따라 사포 연마 나 바로 광택 마무리 한다. * 꾸준히 연습하여 모양에 따른 아답타 를 바로바로 선택할 수 있을 정도로 연습 하시기 바랍니다.
수입차 칼라코드 ▼
ACURA
ALFA ROMEO
AUDI
AUSTIN ROVER
BMW
CHRYSLER-STARTUS(크라이슬러)
CHRYSLER-GRANDCHEROKEE(그랜드 체로키)
CHRYSLER-CRUISER(크루져)
CITROEN(시트로엥)
DAIHATSU(다이하츠)
FERRARI(페라리)
FIAT(피아트)
FORD(포드)
FORD-SABLE(세이블)
FORD
FORD-MONDEO(몬데오)
FORD-MONDEO(몬데오)
GM
GM-PONTIAC(폰티악)
GM
HONDA
MERCEDES-BENZ
MERCEDES-BENZ(SLK-로드스터)
MERCEDES-BENZ(SLK-로드스
MERCEDES-BENZ(BENZ-203)
PEUGEOT(푸조)
PORSCHE(포르쉐)
PORSCHE(포르쉐)
TOYOTA(도요다)
TOYOTA(렉서스)
VOLVO(볼보)
VOLKSWAGEN(폭스바겐)
SAAB(샤브)-Aero
디테일링 세차 ▼